바로코 빠른 상담

카카오 상담

전화상담

이벤트

TOP

온라인상담

진료예약

카카오톡

전후사진

오시는길

학술활동 / 보도자료

의료진 학회 학술 활동 및 언론에 비춰진
바로코의 모습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메디컬투데이] 코 성형 후 남은 수술 흉터, 피부재생 유도하는 PRP 치료로 개선 가능

  성형수술 가운데 코 성형은 진행 횟수가 가장 많은 수술 중 하나에 속한다. 코의 내부 구조는 복잡하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절개를 기본으로 수술을 진행하고, 완전히 개방을 하거나 혹은 비개방형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코에 수술 흉터가 남을 수 있다. 개방을 하게 될 경우 비주 부분에 붉은 가로 흉터가 생기기 때문이다. 또한 수술을 하고 난 이후 염증 반응에 의한 부작용으로 보형물이 피부를 뚫고 나오기도 하는데, 이 과정에서 피부 조직이 손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실리콘이 조직을 뚫을 경우 피부가 함몰이 되면서 상처가 남는 것이다. 이렇게 발생된 흉터나, 피부 조직 손상은 연고를 바르거나 레이저 치료 등과 같은 방법만으로는 개선시키기 어렵다. 이 때에는 조직이 이미 손상되어 버린 상태이기 때문에 재생을 유도하는 PRP(Platelet Rich Plasma) 시술을 통해서 흉터를 복원, 피부를 원래대로 되돌릴 수 있어야 한다. PRP는 혈소판이 풍부한 혈장을 의미한다. 채혈 후 원심분리를 통해 혈소판이 많이 함유될 수 있게 농축한 혈장이다. 이 안에는 성장인자가 풍부하게 함유돼 있는데, 이를 이용해 줄기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를 재생시키는 시술이 바로 PRP 피부재생술이다. 성장인자는 줄기세포를 활성화하여 새로운 피부세포를 증식하게 하며, 피부를 구성하고 있는 콜라겐과 엘라스틴 및 히알루론산 등을 생산하도록 유도하여 상피세포를 성장시킨다. 이를 통해 상처와 흉터를 치료하게 되고, 피부의 꺼진 부위나 노화 부위에 주사해 손상 피부를 재생한다. 코에 삽입한 보형물이 피부를 뚫고 나오게 되면 내부와 외부 조직이 손상되면서 상처가 남고 함몰되며, 색소 침착으로 남기도 한다. 이 때 PRP 치료는 코성형 수술 후 한달 이후부터 2주 간격으로 진행할 수 있다. 개개인마다 흉터의 양상, 피부 상태가 다르기에 시술 횟수는 다르지만 4~8차례 상처 부위에 직접, 주변의 정상조직에 주사를 하게 된다. 만약 코 수술 후 실리콘이 피부 바깥으로 노출됐다면 실리콘 제거 시 노출된 피부에서 딤플링 현상이 발생하고 주변은 딱딱한 상태로 부풀게 될 수 있다. 이때 코 줄기세포 치료를 병행하면 그 효과를 높이면서 활성인자를 자극해 빠른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코 내부 조직 문제인 비중격만곡증으로 인해 수술을 하고 난 뒤, 코 안의 점막이 찢어져서 연골이 노출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PRP는 코 안 점막 상처, 피부 절개 후 남은 흉터와 함몰 자국에도 효과를 볼 수 있다.   바로코의원 김준 원장은 “코성형 후 흉터가 오래 남거나 함몰자국, 피부 트러블 등이 발생한다면 피부 상태가 예민하기 때문에 자가 치료가 어려운만큼,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며 “PRP 치료만으로는 완전하게 회복하기는 어려울 수 있지만 함몰 정도나 조직 손상도가 더 심해지기 전 보조 치료로 병행한다면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그렇기 때문에 코성형 후 상처 회복이나 피부 재생을 고려하고 있다면, 코 성형수술에 대한 실제 임상 경험이 풍부하고, 흉터의 양상이나 특징 등을 파악해 그에 맞는 치료를 진행할 수 있는 의료진을 선택해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고 조언했다. 출처: 메디컬투데이 (https://mdtoday.co.kr/news/view/1065584728819551)​  

Date : 2022-09-05

HIT : 121

[메디컬투데이] 코 보형물 제거 후 손상조직 회복 유도하는 줄기세포 코 재수술이란

 ​   코는 얼굴 중심부에 위치해 있어 콧대의 높이와 각도, 코끝 모양 등에 따라 얼굴 전반적인 입체감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특히 미세한 차이만으로도 인상에 큰 변화를 주기도 하는 만큼, 평소 코 콤플렉스를 가진 이들에게 코성형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이렇듯 코성형은 성형 수술 중에서도 대중적인 수술로 자리 잡았지만, 그만큼 수술 후 예기치 않은 부작용을 겪는 이들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코성형 후 보형물이 휘거나 돌출된 경우, 코 모양에 변형이 온 경우, 코 모양에 대한 불만족이 있는 경우 등이 있는데, 대표적인 부작용에는 삽입한 보형물(실리콘)의 세균 감염으로 인한 염증을 들 수 있다. 보형물 삽입 부위에 발생한 염증은 통증을 일으키고, 수술 부위가 붓거나 고름이 생길 수 있다. 특히, 염증이 심할 경우 구축 현상이 일어나 코 모양까지 변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염증이 발생한 지 3주 정도 후에 구축 현상이 나타나므로, 염증이 발생했다면 구축 현상 발생 전 수술을 통해 보형물을 제거하는 것이 좋다. 코 실리콘 제거 수술 전에는 세균 검사와 3D CT, 내시경, 초음파 등을 통해 현재 상태에 대한 정밀 검사를 진행하고,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적절한 코 보형물 제거 수술 시기 및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보형물 제거 후 코 재수술을 계획하고 있다면, 첫 수술과 보형물 제거로 인해 손상된 혈관 및 조직이 재생된 이후 재수술을 진행해야 한다. 손상된 혈관과 조직의 빠른 회복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줄기세포 치료가 도움이 된다. 줄기세포 치료는 줄기세포 인자를 이용해 코 성형으로 발생한 조직 손상이나 부작용을 자연 치료 상태보다 더욱 빠르게 재생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혈관 재생과 원활한 혈액순환을 돕고, 세포 및 조직 재생, 면역 조절 등의 기능을 하며 내부 조직을 빠르게 회복시킨다. 코성형 후 부작용으로 인해 구축코가 된 경우에도, 줄기세포 치료를 통해 염증, 조직 주변의 과도한 흉살 등의 문제들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형물 제거 후 코 재수술을 하려면 자연 치유가 되고 회복이 되는 기간(약 6개월) 정도를 기다려야 하는데, 재수술 전에 줄기세포 치료를 하게 되면 재수술 시기를 1~2개월 정도를 단축할 수 있다. 보형물 제거 후 조직이 충분히 안정됐다고 판단된 후에는 첫 코성형의 실패 원인을 면밀히 분석하고, 현재 코 상태를 정밀하게 진단한 뒤에 재수술을 계획해야 한다. 특히 코 재수술은 첫 수술보다 난도가 높아지므로 재수술 경험이 풍부하고, 코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이해가 깊은 의료진에게 맞춤 수술을 받아야 또 다른 실패를 막는 데 도움이 된다. 이에 대해 바로코의원 김준 원장은 “코성형 후 부작용으로 코 재수술을 고려한다면, 코 보형물로 인한 부작용이 심화되기 전에 안전하게 보형물을 제거하고, 손상된 혈관 및 조직이 회복되고 안정된 상태에서 진행해야 한다”며, “이런 상태들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진단하려면 코 보형물 제거에 대한 충분한 경험을 갖춘 코 재수술 잘하는 곳을 선택해야 실패없는 재수술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코 보형물 제거 시에는 반드시 피막과 흉살을 깨끗하게 제거해야 또 다른 부작용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코 재수술 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자가연골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며, “코 재수술 병원 선택 시에는 다양한 재수술 케이스로 숙련된 노하우를 가진 의료진이 상주했는지 확인하고, 충분한 상담 후 진행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출처: 메디컬투데이 (https://mdtoday.co.kr/news/view/1065594471085107)​ 

Date : 2022-08-03

HIT : 100